이 기사는 02월 06일 16:09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산 스포츠 브랜드 ‘르까프’로 잘 알려진 중견 패션 기업 화승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2015년 KDB산업은행과 사모펀드 운용사 KTB프라이빗에쿼티(PE)를 새 주인으로 맞으며 반전을 노렸지만 경영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다.

6일 파산법조계에 따르면 화승이 최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1일 채권 추심 및 임의적 자산 처분을 막는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 재판부는 대표자 및 채권자 심문 등 절차를 거쳐 한달 이내에 회생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법률 대리인은 법무법인 지평이 맡았다.

1953년 설립된 동양고무산업을 모태로 하는 화승은 국산 스포츠웨어 르까프를 운영하고, 해외 스포츠 브랜드인 ‘케이스위스’와 아웃도어 브랜드 ‘머렐’을 국내에서 유통하는 회사다. 국내 신발 1호인 기차표 고무신을 생산했고, 1978년부턴 미국 나이키와 합작사인 화승나이키를 세워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으로 나이키 운동화를 생산하며 사세를 키웠다.

1980년 화승으로 회사명을 바꾼 이 회사는 1986년 르까프 브랜드를 출시하며 국제상사의 프로스펙스, 삼성물산의 라피도와 함께 1980~90년대 국내 스포츠웨어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하지만 1998년 ‘IMF외환위기’ 여파로 부도를 내 현재의 기존 경영자 관리인 제도(DIP)하 법정관리 격인 ‘화의’ 절차를 7년 간 거치기도 했다. 화의 졸업 이후 화승은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아웃도어 열풍 속 워킹화 등산복 등의 수요가 폭증한 것. 2011년 화승은 매출액 5900억원 영업이익 177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 중반 전후로 화승의 실적은 급격히 나빠졌다. 국내 스포츠웨어 시장이 나이키, 아디다스를 비롯 데상트, 언더아머, 뉴발란스 등 해외 유명 브랜드를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주력 브랜드인 르카프의 입지가 좁아진 것. 화승의 영업이익은 2013년 68억원으로 줄었다 2014년 반짝 개선됐지만 2015년엔 매출액이 3047억원으로 한 해만에 반토막나며 적자전환했다.

실적이 악화되자 화승그룹은 2014년 전문경영인 출신으로 화승그룹 회장에 오른 고영립 전 회장이 운영하는 물류업체인 경일에 경영권을 매각했다. 하지만 사업 시너지가 크지 않다고 판단한 경일은 1년 만인 2015년 산업은행(산은) PE실과 KTB PE가 공동 GP(무한책임사원)으로 설립한 케이디비 에이치에스 사모투자합자회사에 화승을 매각했다. 당시 2400억원 규모로 조성된 이 펀드엔 화승그룹 계열사(화승인더스트리·화승알앤에이·화승네트웍스)가 1200억원 가량을 후순위 출자자 자격으로 투자했다. 당시 산은PE의 화승 인수는 산은 주도의 선제적 구조조정 사례이자 기업의 모태를 되찾기 위한 화승 그룹의 시도로 관심을 끌었다.

화승을 인수한 뒤 산은과 KTB PE는 적자 점포 정리, 재고 관리 시스템 개선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 작업을 단행하며 내부 효율성 높이기에 나섰다. 하지만 매각 이후 화승의 경영난은 더욱 심화됐다. 2015년 3047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17년 2673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액 역시 38억원에서 256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부실 자산을 처분하고 비효율적인 경영 관행을 개선시켜 기업을 턴어라운드(실적 개선)시키는 사모펀드식 구조조정 방법론은 일정부분 성과를 거뒀지만 해외·고급 브랜드들에 밀려 르카프 등 주력 브랜드들의 경쟁력을 회복시키지 못했던 것.

화승은 지난 해에도 아웃도어 시장 침체 여파로 실적이 악화되며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어왔다. 올해 1월엔 매출채권을 자산으로 한 90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하기도 했지만 법정관리행을 피하지 못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